2023년 5월 31일 수요일

최근 들은 음악들 단평 (5)

 Ares Kingdom – In Darkness at Last


 Ares Kingdom은 이 블로그에 별도의 글까지 썼을 정도로, 개인적으로는 제법 좋아하는 밴드이다. 초장기 데스, 블랙 메탈 언저리에 있을 법한 느낌의 리프들이 섞인 스래시 메탈을 하는 밴드로, 리프 하나하나가 좋은 데다가, 곡들도 전반적으로 어느 정도 서사성을 살리면서 지루하진 않게 하되, 가능한 한 직선적이고 직관적인 곡들(그러니까, 그냥 생각 없이 들어도 좋은 곡들)을 쓴다. 사실 이들의 커버 앨범인 Veneration의 곡 리스트들을 보면 이들의 되도 않는 메탈 덕력을 확인 가능할 정도이니, 이들이 메탈에 통달한 게 딱히 놀랍진 않다. 진짜로, 한번 확인해보라. 그리고 해당 앨범에서 커버한 곡들의 원곡들을 기존에 알고 있었다고 거짓말은 하지 말길 바란다. 

 이번 앨범은 묘하게 더 헤비 메탈스러운 곡들, 그러니까 리프는 헤비 메탈과 별 관련이 없지만, 리듬이나 곡들의 구조가 묘하게 헤비 메탈스러운 곡들이 많은 것 같기도 한데, 전반적인 곡들의 수준은 꾸준하게 좋으니 별 상관은 없다.



Burzum – Hvis Lyset Tar Oss


 최근 웹 서핑을 하다가 Burzum 음악에 대한 혹평들을 몇 번 마주한 바 있어 다시 들어봤는데, 여전히 좋았다. Hvis Lyset Tar Oss의 가장 놀라운 점은 앨범 전체가 마치 한 곡처럼 응집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메탈이라는 장르 내에 컨셉 앨범들이 무수히 많이 존재하나, Burzum의 이 앨범처럼 실제 일관성이 있게 들리는 앨범들이 몇 개나 있나 싶다. 

 어렸을 때는 Tomhet이 너무 긴 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나이 먹고 다시 들으니 오히려 첫 곡인 Det som en gang var와 근사한 수미상관을 이룬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에 더해 2번 트랙과 3번 트랙이 그저 Det som en gang var로 다채롭고 화려하게 시작해서, Tomhet으로 약간은 허전하게 끝내는(곡 제목부터 “공허”이지 않나, 하하), 앨범 전체의 전개에 있어 중간 지점들에 불과한 것 같기도 하고?



Revenge – Attack. Blood. Revenge, Superion. Command. Destroy


 Revenge는 캐나다의 워 메탈 밴드로, 심지어 그 Order from Chaos와 Angelcorpse로 유명한 Pete Helmekamp도 잠깐 소속되었던 밴드이다. 물론 Revenge 자체는 James Reed 개인이 북치고 장구치고 하는 프로젝트인 것 같긴 하지만 말이다. 

 원래도 증오와 악에 받친 밴드로, 커리어 내내 전쟁과 폭력, 반기독교와 인간 혐오 그 자체인 음악만 만드는 밴드이긴 하다만, 이 초기 EP 2 장의 곡들은 그 정도가 더 심하다. 프로덕션마저 딱히 좋은 편이 아닌지라, 거의 소음에 가까운 것 같다가도, 메탈 돼지들이 환장하는 포인트들(그래봐야 리듬 패턴 바뀌는 것이나, 정신 나간 솔로 정도지만)이 군데군데 등장해서 듣는 사람을 즐겁게 해준다. 어찌 되었든 스타일 하나는 확고한 밴드인지라, 심지어 Bathory 커버곡이 있는데, 전혀 Bathory 곡 같지가 않을 정도다.



Omerta – Antiamorous


 앞서 Revenge를 언급하며 “증오”를 이야기했지만, Omerta도 결만 다를 뿐 한 “증오”하는 밴드임은 틀림없다. 굳이 따지자면 Revenge가 틀니 딱딱거리는 “증오”고, Omerta는 약물 중독인 밀레니얼식 “증오”라고 해야겠다.

 2020년 풀렝쓰를 낸 뒤 간헐적으로 싱글들만(그래봐야 두 곡) 내고 있는데, 이 곡은 듣다보면 어처구니가 없어서 오히려 좋게 들린다. 아무 맥락도 없이 온갖 요소들을 섞어놓았는데, 이게 오히려 이들의 정체성에 부합한다는 느낌이다. 제발… 풀렝쓰도 이런 곡으로만 채워서 내줘…


2023년 5월 30일 화요일

Louie Simmons의 70~80년대 훈련법

 최근 Jamie Lewis의 Westside Connection을 읽었다. 해당 서적은 Culver City Westside Barbell과 관련된 문헌들을 정리한 책으로, 딱히 특별한 내용은 없었다. 이미 쇠질 관련 “덕질”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익히 알고 있을 내용이었으니 말이다.

 개인적으로 흥미를 끈 것은 Lewis의 개인적 의견 중 하나였다. 옮기자면: “요약하자면, Louie Simmons는 엿이나 먹으라고 해라. 그 인간은 저주 받을 멍청이고, 약과 메스를 빨면서도 이해할 수 없이 살이나 쪄서는, 딱히 대단한 리프터조차 아니었다. 진짜(the real) Westside Barbell의 개쩌는 방법론을 확인하라 – 주기화도 없고, 개소리도 없고, 살찐 인종주의자도 없으며, 남부 연합 깃발도 없고, 지하실에서 블랙메탈이나 듣는 음모론에 미친 터프가이도 없다.”

 이 견해가 흥미로운 점은, 대부분이 틀린 내용이라는 것이다. Simmons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대단한 리프터”였다. 이를 테면, 1980년 YMCA 내셔널에서 우승하며 기록한 1,950파운드 토탈은 (Simmons 본인의 주장에 따르면) 당시 220파운드 체급 Top3에 해당하는 토탈이었다. Openpowerlifting을 통해 확인해보아도, 그 해에 6번째로 높은 토탈이다. 그리고 Simmons는 2000년에 920파운드 스쾃(멀티플라이)을 기록하기도 하는데, 2000년에 242파운드 체급에서 Simmons보다 무거운 스쾃을 기록한 사람은 Ed Coan 한 명뿐이었다.

 이에 더해 Simmons는 딱히 “멍청이”도 아니었다. 만약 Simmons가 없었다면, 미국의 리프터들 대부분은 소비에트 문헌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았을 것이다(번역을 주도한 Charniga와 몇몇 역도 리프터들을 제외하면 말이다). 그리고, Simmons와 Westside Barbell이 인종 차별과 연관되어 있다는 지적 역시 근거가 부족하다.

 하지만, 적어도 Lewis가 나름 정확하게 지적한 지점은 Culver City Westside Barbell이 “진짜”라는 점이다. 왜나고? 심지어 Simmons 본인도 인정하는 바, Simmons가 젊은 시절 훈련한 방식은 거의 대부분이 Culver City Westside Barbell에서 베껴온 것이었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가 아는 Conjugate(“칸쥬게이트”라고 부르고 싶다면 그리 하길 바란다, 하하) 방식의 훈련 시스템이 Simmons의 Westside Barbell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80년대 중반 이후이며, Simmons가 신체적으로 가장 강했던 시절(1980년 1,950파운드 토탈의 경우, ACE 붕대와 초기 스쾃 수트만 가지고 달성한 기록으로, 사실상 현대의 무장비+니랩 수준이라고 보아야 한다)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그렇다. 정작 파워리프팅과 관련한 Conjugate System을 창시한 것이나 다름없는 사람이, 정작 본인 스스로 무장비로 가장 강했던 시절엔 그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았었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당시 Simmons는 건설 현장에서 육체 노동을 하며 훈련을 하고 상기 기록을 세웠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Wenning에 따르면, Simmons가 재정적으로 여유로워진 것은 1991년 의료 사고 후 보험금을 받은 이후라고 한다).

 이에 더해, Greg Panora에 따르면, Louie Simmons는 사적인 자리에서 때때로, 스쾃 700파운드, 벤치 프레스 450파운드, 데드리프트 700파운드 정도 기록을 세운 사람이 아닌 이상 자신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의미 없다고 비웃곤 했다고 한다(물론, 장비 파워리프팅 기준이다).

 물론 나는 여기에서 Conjugate System이 무장비 리프터에게 의미가 없다거나, 기록이 낮은 경우에 적용할 수 없다는 주장을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두 경우 모두와 관련해서 이미 탁월하게 해당 시스템을 변형, 적용하고 있는 Matt Wenning 같은 인물이 있음을 생각할 때엔 더더욱 그렇다. 내가 여기에서 간접적으로 주장하고 싶은 바는 이것 하나이다: 언제나, 맥락이 설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찌 되었든, Simmons가 70~80년대에 훈련한 방식을 “템플릿”으로 정리하면(물론, 하기 종목들 외에 여러 보조 운동들이 포함되었을 것이다; 이를 테면 Simmons 본인부터가 Larry Pacifico의 조언에 따라 삼두 운동을 매우 많이 했었다는 일화를 항상 이야기하곤 했다) 이하와 비슷했었다고 추정해볼 수 있다(http://ditillo2.blogspot.com/2018/10/single-door-garage-training-early.html):


///

스쾃


스쾃에 있어 사용되는 방법은 박스 스쾃이라 불리는 것이다. 박스 스쾃을 하기 위해서, 훈련자는 스스로를 패러렐보다 약 2인치 정도 높은 박스에 몸을 낮춰 앉게 된다. 이건 사실상 거의 완전한 정지이나, 등 하부의 아치는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훈련자는 몸을 뒤로 기울였다가 즉시 고관절을 앞으로 펴며 위로 일어나게 된다. 싱글들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훈련자는 매우 무거운 무게를 다룰 수 있다.


이것이 완료된 이후에, 또 다른 높이의 박스, 패러렐보다 약 1/2 인치 낮은 박스가 사용되며, 같은 절차가 반복된다.


모든 중량은 넓은 스탠스로 다루어지며, 이를 통해 고관절을 신전하는 강한 근육군들을 사용하게 된다.

때때로, 패러렐보다 약 2인치 낮은 박스가 사용되기도 하며, 이는 깊이와 근력을 보강하기위해쓰인다.


박스 스쾃은 주 당 한 번 사용되며, 매주 새로운 개인 기록을 시도하게 된다.



벤치 프레스

 

벤치 프레스는 일주일에 한 번 파워랙에서, 가슴으로부터 2인치, 그리고 4인치 떨어진 구간에서 싱글들을 통해 훈련된다. 그 주의 두 번째 벤치 프레스 훈련일에는 와이드 그립을 사용해, 5회 1세트까지 중량을 올려가며, 시합 때까지 매주 10파운드씩 중량을 올린다. 시합 4주 전에는 그 주에 중량을 20파운드 올리고, 그 후에는 3주 연속으로 매주 10파운드씩 중량을 올려가되, 3회 세트를 사용한다. 와이드 그립 벤치를 수행하는 날에, 리프터는 클로즈 그립 벤치 프레스도 5회 1세트까지 중량을 올려가며, 벤치 프레스 근력보다 팔의 근력이 앞설 수 있도록 노력한다.



데드리프트


데드리프트는 일주일에 한 번 훈련된다. 파워랙에서 여러 핀 높이를 돌아가며, 무거운 무게로 싱글들을 훈련하게 된다. 첫 주에는 핀 4와 핀 3에서, 두 번째 주에는 핀2와 핀1에서, 세 번째 주는 바닥에서, 그리고 4인치 박스 위에 서서 훈련한다.


하지만, 가장 알려지지 않은 운동은 리버스 하이퍼익스텐션이다. 이 운동은 상체를 레그 익스텐션 머신에 기대어 놓거나, 파워랙을 사용하여, 지상으로부터 3피트 정도 높이에 판자를 올려놓고 누워서 진행하게 된다. 허리에서부터 몸을 굽혀, 다리가 지상에서부터 움직이게 한다. 리프터는 이제 그의 다리와 엉덩이를 뒤쪽으로 가능한 한 높게 들며, 등 하부 근육과 둔근을 수축한다. 가능한 한 많은 횟수를 반복하며 말이다. 중량은 발목에 붙여 저항을 제공하게끔 한다. 우리는 개목줄을 사용한다.


한 주간 훈련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월요일 -

핀 DL, 4/3 핀, 또는 2/1핀, 또는 바닥과 4인치 디피싯에서 싱글들 수행

리버스 하이퍼익스텐션.


수요일 -

파워랙 BP 싱글들


금요일 -

박스 스쾃, 싱글들, 박스 2 와 1.

리버스 하이퍼익스텐션


일요일 -

와이드 그립 BP

클로즈 그립 BP

///


2023년 5월 10일 수요일

의식의 흐름 #31

 - 나는 쇠질과 관련해 스스로가 “과학적”임을 뻗대어 대는 이들을 증오한다.


- 대부분은 “과학”이 무엇인지도 이해하지 못 하는 이들로, 그저 당대에 유행하는 학자 몇몇의 논문 몇 편, 책 한 두 권을 인용하는 것이 자신들의 주장을 “과학적”으로 만들어준다고 생각하는 자들일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 이를 테면, “과학적”인 근비대 관련 컨텐츠를 만들고자 하는 많은 이들이 아무 생각 없이 Brad Schoenfeld를 인용하곤 한다.


- 하지만 그들 중 대부분은 자신들이 숭배하다시피 하는 Schoenfeld가 2019년 논문(PMID: 30153194)에서 체성분 초음파 검사를 모두 본인이 직접(!) 수행해서 맹검법 따위를 아예 무시해버렸다는 것을 알고 있는 이는 몇이나 되는가?


- 그리고 사람들이 이에 대해 지적하자, 자신은 “믿을 만한” 연구자이기에, 괜찮다고 답변했었다는 것은 아는가? 맹검법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믿을 만한” 연구자라! 실로 대담한 발언이 아닐 수 없다.


- 물론 상기한 건 하나만으로 Schoenfeld의 모든 연구와 저작들이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참고할 만한, 활발히 활동하는 저자임을 안다.


- 하지만, 진정으로 “과학적”인 것을 추구한다면, 비판적으로 보아야만 한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 “과학적”인 움직임을 이끄는 “핏플루언서”들부터가 사업과 관련해서는 자신들이 학위를 딸 때엔 절대 하지 않았을 짓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더더욱 그렇다.


- “과학적”, “근거-기반”을 외치면서, 결국 자신의 방법이 가장 좋다고 단언해야 하는 모순을 껴안고 사는 것이 그들 “핏플루언서”들이니 말이다.



- 나는 아직까지도 이들 “핏플루언서”들이, 그리도 “과학”을 좋아하면서, 교과서를 강조하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 흥미롭지 않나? 모두들 Kuhn을 읽어보긴 한 걸까?


- 물론 나도 이런 말을 할 처지는 안 되는 걸 알지만 말이다.


- 사실, “과학적” 마케팅을 하는 심리를, 한편으로는,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으니 말이다.


- 대부분은 그저, 너무 약한 것이다. 본인은 약한데, 지금까지 쇠질에 들인 시간은 아깝고, 그러니 돋보이고 싶을 때 찾는 것이 “과학적” 컨텐츠인 것이다(물론 소수의 예외들은 있다 – Dr. Hatfield나 Nuckols가 우선적으로 떠오른다).


- 하지만, 본인 스스로 잘 하지 못 하는 것을 잘 하는 “척” 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 Aristotle은 아니라고 할 것 같은데 말이다, 하하.


- 스스로 구원할 수 없는데 남을 구원할 수 있는가?


- 이 글은 사실 누군가를 공격하는 것조차 아니다. 오히려 자기반성에 가깝다.


- 모든 게 효과가 있다, 모든 게 좋다(“Anything goes”). 무언가를 더 많이 안다고, 그것이 근육량을 늘려주지도, 근력을 올려주지도 않는다.


- 기록을 갱신하는 것은 정말 특출난 아웃라이어들이며, 20세기 중반부터 평균적인 리프터들의 수준은 거의 바뀌지 않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 파워리프팅의 예시를 들어보자.


- 60년대 파워리프팅이 시작될 무렵, 주 2회 운동을 하며, 그 중 하루는 거의 1rm 근처를 꾸준히 훈련하는 식이었던 초창기 파워리프터들도 어느 정도는 다들 강해졌다.


- 70년~80년대에 러시아의 “주기화”를 오해한, 선형 주기화와 오프 시즌, 시즌 블록으로 이루어진 미국의 파워리프팅 프로그램은, 지금까지도 회자될 만한 리프터들을 만들었음은 물론, 중급자 수준의 파워리프터들에게도 좋은 성과를 가져다 주었다.


- 80년대 이후에 Westside Barbell은 동시적 주기화를 유명하게 만들었고, 이 역시 엘리트 리프터들 뿐 아니라, 여러 다른 리프터들에게 효과가 있었다.


- 90년대에는 역도 프로그램에 기초한 접근법을 통해 유럽 쪽의 여러 IPF 리프터들이 큰 성공을 거두었다. 


- 러시아를 위시한 구소련 국가들은 이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데, 1980년대 후반 파워리프팅을 처음 시작했을 당시 러시아 리프터들은 모두 하이바 스쾃과 컨벤셔널 데드리프트만 수행하고 있었다고 한다(Coan의 말이다). 역도 시스템에 기초해 불과 수 년 내에 파워리프팅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만들었다는 뜻이 된다(Boris Sheiko는 애초에 역도 코치였다).


- 2000년대엔 어떤가? 5/3/1을 위시해 E-Book과 소위 “쿠키-커터” 프로그램들이 성행하기 시작했고, 엘리트 리프터들은 몰라도 일반적인 리프터들은 충분히 효과를 봤다.


- 2010년대 초~중반에는? 유튜브 중심의 피트니스 문화가 활발해지기 시작하며, 특수성을 극한까지 강조하는 DUP가 유행했고, 여전히 엘리트 리프터들이든 보통의 리프터들이든 강해졌다.


- 그 이후, 현재에는? “Accessory” 운동이 보다 강조되고, 소위 “개인화”가 강조되며, 여전히 엘리트 리프터들이든 보통의 리프터들이든 열심히 하면 강해진다.


- 언제나, 모든 것이 효과가 있었다.


- 약한 것은 나의 잘못이다. 유전자, 그러니까 타고난 것도 있겠지만, 그걸 확인하려면 결국 실제 쇠질을 계속 해봐야 하는 것이다.


- 미국의 “Physical Culture”의 대부라고 할, Bernarr Macfadden은 실로 탁월한 말을 남겼다.


- “Weakness is a crime.”


- 약함은 범죄이며, 적어도 무죄를 주장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이 시리즈는 당초에 이 필자 스스로 읽어보고 싶은 글을 아무도 쓰지 않아 시작된 것이었다. 그리고 “의식의 흐름”이라는 제목답게 실로 일관성이 없는 시리즈였음을 안다.


- 그리고 나의 “의식의 흐름”은, 이 시점에서 이 시리즈를 마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일단락 지어지는 것 같다.


2023년 5월 3일 수요일

의식의 흐름 #30

 - 나는 코칭을 혐오하지 않는다.


- 오히려, 일정 이상의 퍼포먼스를 내는 리프터라면 “코칭”이 있는 것이 낫다고도 생각한다.


- 보다 정확하게 이야기하자면, 코치가 아니더라도, 같이 훈련하는 파트너들이 있어, 제 3자의 시선으로 훈련을 평가 받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낫다고 생각한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자기객관화이니 말이다.


- 혼자 운동해서 챔피언 리프터가 된다는 발상이 몇몇에게 가지는 매력은 이해하나, 적어도 실제 퍼포먼스 기반의 쇠질 챔피언들 중에는 코치나 훈련 파트너가 없었던 사람을 찾기 어렵다.


- 애초에, 인터넷 이전 시기 사람들이 어떻게 쇠질을 배웠을 것이라 생각하는가? 체육관에서 함께 운동하는 사람들을 통해 배웠을 것 같지 않나?


- 혼자서, 아무런 사회적 교류 없이, SNS와 인터넷만으로 쇠질을 배운 뒤, 고립된 채 쇳덩이를 들었다 내려놓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은 지극히 21세기적 현상이라는 것이다(그렇다, 나는 지극히 21세기적 인간인 것이다, 하하).


- 쇠질은 문화이며, 문화는 당연하게도 여러 사람이 공유해야 성립하는 것임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이러한 맥락에서, 나는 “팀”이나 동호회도 혐오하지 않는다. 오히려, 개인적으로 쇠질을 하며 가장 즐거웠던 순간들을 생각해보면, “팀”이나 동호회에 소속되어,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운동을 했던 것들이 우선적으로 떠오를 정도다.


- 오히려, 개인적으로는 “코칭”보다는 “팀”이나 동호회, 그러니까 클럽 단위로 서로 운동하는 것을 봐주며 쇠질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훈련 환경이라고 생각한다.


- 아무래도,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코칭”이라고 하면 묘한 상하관계라고 해야 할지… 글로 쓰기도 낯부끄러운 “스승과 제자” 같은 느낌이 들 수밖에 없기에 그렇다.


- “스승과 제자”! 하긴, 스승의 날에 퍼스널 트레이너에게 선물을 주는 사람들도 있는 세상이니 말이다, 하하.


- 심지어 대한민국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Westside Barbell을 인용하길 좋아하지만, 정작 Louie Simmons의 다음 발언을 언급하는 것을 본 기억은 별로 없다.


- Westside Barbell은 단순한 체육관(Gym)이 아니라 모임(Club)에 가깝다는 발언 말이다.


- 그리고 언제나 같이 언급되는 것이 Simmon는 (Westside Barbell이 한창 유명해지기 시작했던 20세기 후반에) 코치가 아니라 훈련 파트너이자 리프터라는 내용도 별로 인용되지 않는다.


- Dave Tate는 Simmons가 50이 넘은 나이에 다시 파워리프팅을 시작하고, 같이 운동하는 젊은 리프터들을 Max Effort 훈련에서 앞지르는 것을 보고, 한층 더 존경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내용의 글을 적은 적이 있다.


- 그리고 이것이,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엔 가장 이상적인 훈련 환경이다. “Club”으로서, 리프터들이 서로 돕는 것 말이다. 물론 경험이 많거나, 지식이 많은 이가 다른 이들을 더 도울 수 있고, 이것은 분명 일종의 “코칭”이다. 하지만 “스승과 제자” 같은, 역겨운 것은 아니지 않나.


- 이번 글은 그 어떤 정보 공유도 없이 사견으로만 가득하기에, 실로 “의식의 흐름”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