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16일 수요일

잡문 #21 - 무책임

 쇠질 훈련법과 관련하여 가장 무책임한 말은, 적어도 내 생각엔, 이것이다:

 ‘근비대를 해라’

 이건 아무 의미가 없는 말이다.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근비대는 특이성에 구애를 매우 덜 받는, 매우 ‘관대한’ 적응이니 말이다. 흔히 ‘과학적’으로 밝혀진 근비대 훈련 강도의 범위부터 생각해보면, 무려 5~30RM이다. 효과가 있는 볼륨 구간은 (최적의 볼륨 구간이 아니라, 훈련 효과가 있는) 말 그대로 주 당 부위별 1~2 세트 정도부터 무려 50여 세트 사이가 된다는 것도 생각해보아야 한다.

 자, 이런 상황에서 ‘근비대를 해라’ 라는 말을 들었을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5~8회 1~2세트부터, 25~30회 50세트 사이 어딘가를 해라 하는 말이나 다름없는데?

 결국 훈련 계획은 빈도, 강도, 볼륨, 그리고 특이성이 모두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니(‘FITT’ 원칙이다! 고전 그 자체다!), 그저 근비대를 하라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현재 훈련하는 방식, 그리고 훈련의 목적을 고려해 빈도, 강도, 볼륨, 특이성을 모두 고려하여 그에 따른 근비대 훈련을 계획해주어야 할 것이다.

 아무렇지도 않게 ‘근비대를 해라’ 하는 것은 실로 무책임한 말인 것이다.

 그리고 위에 기초해 다른 무책임한 말들도 더 생각해볼 수 있다:

 ‘볼륨을 늘려라’

 ‘빈도를 늘려라’

 ‘스트렝스를 길러라’

 차라리 재능을 타고났어야 한다고 조언해주는 건 어떤가?


댓글 7개:

  1. 하수:그래서 몇세트 몇회 하라는건가요? 정"해줘"
    고수:음 1~50세트 안에서 5~30Rm을 하라는거군
    좆고수:아! 어떤날은 무겁고 적게 어떤날은 가볍게 많이 지배당하는 패티쉬가 있다면 프로그램을 따라해봐도 좋고 걍 자기가 꼴리는대로 하라는 이야기구나

    답글삭제
    답글
    1. 장사하려는 건 이해하지만 여러 요인들 중 하나만 이야기하는 게 좀 무책임하게 느껴진다고 할까요… 인자약 깔개들 가두리 양식 하는 게 그 분들의 의도이니 어쩔 수 없겠죠.

      삭제
  2.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3. 그럼 '해보고 안되면 자살해'는 충분한 표본이 확보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면서도 구체적인 행동지침을 제시해주니 실로 겸손하고 책임감 있는 조언이라고 할 수 있겠군요

    답글삭제
    답글
    1. 그딴 게… 조언…?

      해보고 안 되는 경우에 헬스는 그냥 머신 많이 프리 조금 섞어서 8RM 근처 중량으로 부위 별 10세트 이하나 ‘딸깍’ 하라 하는 게 그나마 근거 기반한 조언일 듯 하네요.

      삭제